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1971년 태광산업 배구팀을 모체로 창단되어 1991년부터 흥국생명보험 소속으로 운영되는 여자 배구단이다.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며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. 2005-2006, 2006-2007, 2008-2009, 2018-2019 시즌에 V-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, 김연경 선수를 비롯한 주요 선수들의 활약으로 여자 배구계의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1971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- 버지니아 윙스
버지니아 윙스는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존재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, 아메리카 아이스하키 리그에 소속되어 햄프턴 콜리시엄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1974-75 시즌 남부 디비전에서 1위를 기록했다. -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- IBK기업은행 알토스
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창단되어 경기도 화성시를 연고지로 하는 V리그 여자 프로배구 팀으로, V리그 3회 우승 및 KOVO컵 3회 우승 등 국내 최정상급 성적을 거두었으며 김희진, 이효희, 박정아 등 유명 선수들이 활약했고 김사니 선수의 등번호 9번이 V리그 여자부 최초로 영구 결번 지정되었다. -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- 현대건설 힐스테이트
현대건설 힐스테이트는 1977년 창단되어 V리그에서 3회 우승과 5회 KOVO컵 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 여자 프로 배구단으로, 수원실내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강성형 감독과 양효진, 김연견, 야스민 베다르트가니 등의 선수가 활약하고 있다. - 태광그룹 - 세화고등학교 (서울)
1977년 학교법인 일주학원 설립 인가 후 1987년 개교한 세화고등학교(서울)는 지속적인 시설 확장과 교육 환경 개선을 통해 성장해왔으며, 2022년 제12대 교장과 제6대 이사장이 취임하여 새로운 발전을 이어가고 있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. - 태광그룹 - 세화여자고등학교
세화여자고등학교는 1978년 서울에 설립된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, 2010년 자율형사립고등학교로 지정되었으며, 많은 졸업생을 배출했다.
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- [스포츠팀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클럽 이름 |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|
원어 이름 |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여자 배구단 |
창단 | 1971년 |
홈 경기장 | 삼산월드체육관 |
연고지 | 인천광역시 |
수용 인원 | 7,140명 |
구단주 | 흥국생명 |
회장 | 변종윤 |
감독 | 마르첼로 아본단차 |
주장 | 김미연 |
리그 | V-리그 |
웹사이트 |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공식 웹사이트 |
유니폼 | |
홈 유니폼 색상 | 분홍색 |
원정 유니폼 색상 | 남색 |
최근 시즌 | |
시즌 | 2023-24 |
정규 시즌 순위 | 2위 |
포스트 시즌 | 준우승 |
2. 역사
1971년 흥국생명의 자회사인 태광산업이 동일방직 배구팀을 인수하여 창단했으며, 1991년부터 흥국생명 소속이 되었다.[2] 연고지는 인천광역시이며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. 2005-2006 시즌 V리그 첫 우승을 시작으로 이듬해 리그 2연패를 달성, V리그에서 통산 4회 우승과 2009년한일 V.리그 톱 매치 우승을 기록했다. 2013-2014 시즌에는 후원사인 휠라가 디자인한 미니스커트 유니폼을 채택해 화제가 되었다.[2]
2. 1. 창단 배경 및 초기 역사 (1971년 ~ 2005년)
1971년, 흥국생명의 자회사인 태광산업이 방직 회사인 동일방직의 배구팀을 인수하여 창단했으며, 1991년부터 흥국생명 소속이 되었다. 연고지는 인천광역시이며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.[2]2. 2. V-리그 출범과 전성기 (2005년 ~ 2019년)
2005년 V-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였다. 2005-06 시즌에 첫 우승을 달성하며 여자배구 강팀으로 부상했다.[2] 2006-07 시즌에는 V-리그 2연패를 달성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.[2] 2008-09 시즌 통산 세 번째 V-리그 우승을 차지했다.[2] 2009년 한일 V.리그 톱 매치에서 우승하며 국제 경쟁력을 입증했다.[2] 2018-19 시즌 10년 만에 V-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을 알렸다.[2]시즌 | 포스트시즌 | 정규 시즌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순위 | 경기 수 | 승리 | 패배 | ||
2005 | 진출 실패 | 5 | 16 | 3 | 13 |
2005-06 | 우승 | 1 | 28 | 17 | 11 |
2006-07 | 우승 | 1 | 24 | 20 | 4 |
2007-08 | 준우승 | 2 | 28 | 24 | 4 |
2008-09 | 우승 | 1 | 28 | 16 | 12 |
2009-10 | 진출 실패 | 4 | 28 | 8 | 20 |
2010-11 | 준우승 | 2 | 24 | 13 | 11 |
2011-12 | 진출 실패 | 5 | 30 | 13 | 17 |
2012-13 | 진출 실패 | 5 | 30 | 6 | 24 |
2013-14 | 진출 실패 | 6 | 30 | 7 | 23 |
2014-15 | 진출 실패 | 4 | 30 | 15 | 15 |
2015-16 | 플레이오프 | 2 | 30 | 18 | 12 |
2016-17 | 준우승 | 1 | 30 | 20 | 10 |
2017-18 | 진출 실패 | 6 | 30 | 8 | 22 |
2018-19 | 우승 | 1 | 30 | 21 | 9 |
2. 3. 김연경 복귀와 현재 (2020년 ~ 현재)
2020년, '배구 여제' 김연경 선수가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로 복귀하며 다시 한번 우승에 도전했으나, 2020-21 시즌 챔피언결정전에서 GS칼텍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. 이후 2022-23 시즌에는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으나, 챔피언결정전에서 한국도로공사에 아쉽게 패하며 또다시 준우승을 기록했다. 2023-24 시즌에도 챔피언결정전에서 준우승하였다.시즌 | 포스트시즌 | 정규 시즌 순위 | 경기 수 | 승리 | 패배 | 승점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20-21 | 준우승 | 2위 | 30 | 19 | 11 | 56 |
2021-22 | 취소 | 6위 | 33 | 10 | 23 | 31 |
2022-23 | 준우승 | 1위 | 36 | 27 | 9 | 82 |
2023-24 | 준우승 | 2위 | 36 | 28 | 8 | 79 |
V-리그 통산 4회 우승(2005-2006, 2006-2007, 2008-2009, 2018-2019)과 6회 준우승(2007-2008, 2010-2011, 2016-2017, 2020-2021, 2022-2023, 2023-2024)을 기록했다. KOVO컵에서는 1회 우승(2010)과 1회 준우승(2020)을 차지했다. 한일 V-리그 톱 매치에서는 1회 우승(2009)과 2회 3위(2006, 2007)를 기록했다.
3. 역대 성적
3. 1. V-리그
시즌 | 포스트시즌 | 정규 시즌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순위 | 경기 수 | 승 | 패 | 승점 | ||
2005 | 진출 실패 | 5 | 16 | 3 | 13 | — |
2005-06 | 우승 | 1 | 28 | 17 | 11 | — |
2006-07 | 우승 | 1 | 24 | 20 | 4 | — |
2007-08 | 준우승 | 1 | 28 | 24 | 4 | — |
2008-09 | 우승 | 3 | 28 | 16 | 12 | — |
2009-10 | 진출 실패 | 4 | 28 | 8 | 20 | — |
2010-11 | 준우승 | 3 | 24 | 13 | 11 | — |
2011-12 | 진출 실패 | 5 | 30 | 13 | 17 | 41 |
2012-13 | 진출 실패 | 5 | 30 | 6 | 24 | 22 |
2013-14 | 진출 실패 | 6 | 30 | 7 | 23 | 19 |
2014-15 | 진출 실패 | 4 | 30 | 15 | 15 | 45 |
2015-16 | 플레이오프 | 3 | 30 | 18 | 12 | 48 |
2016-17 | 준우승 | 1 | 30 | 20 | 10 | 59 |
2017-18 | 진출 실패 | 6 | 30 | 8 | 22 | 26 |
2018-19 | 우승 | 1 | 30 | 21 | 9 | 62 |
2019-20 | 취소 | 3 | 27 | 14 | 13 | 48 |
2020-21 | 준우승 | 2 | 30 | 19 | 11 | 56 |
2021-22 | 취소 | 6 | 33 | 10 | 23 | 31 |
2022-23 | 준우승 | 1 | 36 | 27 | 9 | 82 |
2023-24 | 준우승 | 2 | 36 | 28 | 8 | 79 |
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V-리그에서 2005-06, 2006-07, 2008-09, 2018-1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으며, 2007-08, 2010-11, 2016-17, 2020-21, 2022-23, 2023-24 시즌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.
3. 2. KOVO컵
- '''우승 (1회):''' 2010
- '''준우승 (1회):''' 2020
3. 3. 한일 V-리그 톱 매치
'''우승 (1회):''' 2009'''3위 (2회):''' 2006, 2007
4. 선수단
현재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선수단은 마르첼로 아본단자 감독을 중심으로, 김대경, 최지완, 박건휘 코치진과 여재기, 이택규, 김예솔, 이주현, 이상화, 정경훈, 김태희, 고윤성 스태프로 구성되어 있다.[3][4]
4. 1. 2023-24 시즌 선수 명단
wikitext번호 | 이름 | 포지션 | 데뷔 년도 | 이적 년도 |
---|---|---|---|---|
1 | 김다은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19 | |
2 | 김서윤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22 | |
3 | 박혜진 | 세터 | 2020 | |
4 | 이주아 | 미들 블로커 | 2018 | |
5 | 김해란 | 리베로 | 2002 | |
6 | 변지수 | 미들 블로커 | 2015 | 2021(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-> 수원시청배구단) |
7 | 김나희 | 미들 블로커 | 2007 | |
8 | 도수빈 | 리베로 | 2016 | |
9 | 박은서 | 세터 | 2018 | |
10 | 김연경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05 | 2022(상하이 브라이트 유베스트) |
11 | 박현주 | 아포짓 스파이커 | 2019 | |
12 | 김지우 | 세터 | 2022 | |
14 | 정윤주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21 | |
15 | 김채연 | 미들 블로커 | 2017 | |
16 | 박상미 | 리베로 | 2012 | 2020(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) |
17 | 레이나 도코쿠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23 | |
18 | 김다솔 | 세터 | 2014 | |
19 | 김미연(C)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11 | 2018(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) |
20 | 박수연 | 아웃사이드 히터 | 2022 | |
21 | 임혜림 | 미들 블로커 | 2022 | |
23 | 이원정 | 세터 | 2017 | 2022(GS칼텍스 서울 KIXX) |
51[3] | 윌로우 존슨[4] | 아포짓 스파이커 | 2020 | 2024(닐뤼페르) |
4. 2. 역대 주요 선수
선수명 | 포지션 | 영입 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김연경 | 레프트 | 2005-2009, 2020- | {{lang|ko|김연경|} | }